음주 및 영양 관련 건강증진 정책에 대한 인식 탐색
Exploring awareness of health promotion policies related to drinking and nutrition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various health promotion policies on drinking and nutrition among general citizens living in Ulsan Metropolitan City.
Methods
The pros and cons of a total of 11 drinking policies and 6 nutrition policies were confirmed in the survey. Through frequency analysis, the approval rate of each policy was analyzed. In addition,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pproval rate of each polic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participants.
Results
A total of 1,226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drinking policy with the highest approval rate was addictio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86.5%), followed by the sobriety campaign (84.7%) and alcohol regulation in public places (80.9%). However, the increase in the liquor tax (38.1%) had the lowest approval rate. The nutrition policy with the highest approval rate was the expansion of nutrition labeling obligations (89.7%), followed by the restriction of stores near schools (79.0%). However, the policy with the lowest approval rate was the taxation of sweetened food (57.0%).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pproval rate of various policies according to the health behavior of the study participants. For example, there were more drinking policies in favor of non-smokers (7.8) than smokers (7.4) and non-drinkers (8.1) than drinkers (7.4).
Conclusions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various health promotion policies on drinking and nutrition, and generated data to support the introduction of related policies.
서론
심뇌혈관질환, 암, 만성호흡기질환, 당뇨 등과 같은 비감염성 질환(Noncommunicable diseases, NCDs)을 유발하는 요인은 복합적이다[1, 2]. 관련 문헌에서는 NCDs의 유발요인을 유전적(가족력, 유전 등), 환경적(공해, 자외선 등), 건강상태(혈압, 당, 비만), 사회인구학적(나이, 성별, 인동, 학력, 소득수준 등), 자기관리(건강행태), 총 5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 중에서 금연, 금주, 운동, 건강한 식생활 등 건강행태 요인은 개선 가능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3].. 그러나 개인의 노력만으로 생활방식과 습관을 변화시키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4]. 즉, 여러 요인들 간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개인의 노력과 함께 정부의 정잭적 지원 및 제도 등과 같은 인구 집단 수준의 전략이 필요하다[4-6]. 인구 집단 수준의 다양한 정책은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건강행태를 실천할 수 있는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7].
세계보건기구에서는 2025년을 기준으로 음주, 흡연. 신체활동 등 영역별 목표치를 설정하고,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행동계획(Global Action Plan for NCD prevention and control)을 제시한 바 있다[8]. 우리나라에서도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 제정에 따라 5년마다 국민건강증진계획(Health Plan)을 수립하면서 건강증진 정책 제도를 점차 확대 시행해 오고 있다[9]. 다양한 건강증진 정책 중에서도 금연 정책은 꾸준히 강화되어 흡연율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 받고 있다[10]. 그러나 비교적 음주, 신체활동, 영양 및 식습관 등 다른 건강행태에 대한 정책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부분이 있다[9]. 예를 들어, 한국인들의 나트륨 평균 섭취량은 2018년 기준 3,255mg으로 여전히 WHO 권장량(2,000mg)보다 높은 수치이다[11]. 음주의 경우도 2018년 기준 남성 월간음주율이 70.5% 이상이며 여성은 51.2%로 나타나 개선의 여지가 보이지 않고 있다[12]. 금연 정책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국가수준에서의 정책 개입이 동반되어야 건강행태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에서 음주, 영양 등 타 건강행태에 대한 정책도 좀 더 강화될 필요가 있다[13-15].
건강증진 정책의 강화를 위해서는 우선 국민들이 이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부터 파악해보아야 할 것이다. 기존 흡연과 관련된 정책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은 여러 차례 평가한 바 있지만[16, 17], 음주, 영양과 관련된 건강증진 정책에 대한 인식을 계량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찾기 힘들다. 영양사 및 보건교사[18], 전문가[19] 등 특정 대상으로 건강증진 정책 인식을 살펴본 연구 정도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음주와 영양에 대한 건강증진 정책의 인식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정책의 인식이 개인의 건강행태와 여러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연구참여자 및 자료 수집 방법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이번 설문조사의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조사의 표본은 성별, 연령대별, 지역별(구군 수준) 인구 비례에 맞춰 설정된 할당을 고려하여 무작위로 선정되었다. 2019년 10월 28일부터 11월 29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1,226명이 설문을 완료하였다. 설문조사는 다수의 대면조사 경험이 있는 조사원을 활용한 1:1 대면조사 방식이었다. 설문조사 시작 전 조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문항과 조사방법에 대한 세부 교육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개발 및 구성
이번 설문조사는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에서 수행된 심뇌혈관질환 조기증상 인지도 및 의료이용 경험 파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전체 설문조사는 크게 건강관련 삶의 질, 심뇌혈관질환 조기증상 인지도, 건강행태, 의료이용 경험, 건강증진정책 인식,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구분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건강증진정책 인식 내용에 초점을 두고, 건강행태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보를 함께 분석에 활용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은 성별, 연령대, 월평균 가구 소득수준, 울산 내 거주구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강행태에서는 흡연 여부, 음주 여부, 저나트륨 식사 선호 수준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흡연 여부의 경우 평생 100개비 이상 담배를 피웠으며 가끔 또는 매일 피운다고 응답한 사람은 흡연자로 분류하였다. 음주 여부에서 음주자는 최근 1년 동안 술을 마신 적 있으며, 한 달에 2~4번 이상 음주한다고 응답한 사람으로 분류하였다. 저나트륨 식사 여부는 식사 시 소금과 간장 첨가, 간장에 찍어먹는 것, 국을 마시는 것, 이렇게 3개의 문항에 대한 응답에 따라 분류하였다. 비선호자의 경우 3문항의 응답 모두 저나트륨 식사를 모두 실천하지 않은 사람을 의미한다. 정확하게는 식사 시 소금, 간장을 항상/매우 첨가하고, 간장에 찍어 먹고, 국을 반 이상 마시는 사람으로 정의내렸다. 부분선호자는 식사 시 소금과 간장 거의/전혀 넣지 않거나, 간장에 전혀 찍어먹지 않거나, 국을 거의/전혀 마시지 것, 즉, 이 3가지 저나트륨 식사행태 중 1~2가지 실천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선호자는 저나트륨 식사행태를 3가지 모두 실천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크게 음주 정책과 영양 관련 정책에 대한 찬성, 반대 의견을 확인하였다. 음주 정책은 소매상 판매제한, 주류구입 연령제한, 운전 시 기준 강화 등 총 11개의 정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영양 관련 정책은 영양표시 의무 확대, 폭식조장 미디어 규제 등 총 6개의 정책으로 문항이 구성되었다.
분석 방법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건강증진 관련 정책 의견에 대해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건강행태는 빈도분석을 통해 기본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은 성별, 연령대, 월평균 가구 소득수준, 울산 내 거주구역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강행태는 흡연 여부, 음주 선호도, 저나트륨 식사 선호도가 포함되어 있다. 교차분석을 통해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정책의 찬성에 대한 차이가 유의미한지 파악하였다.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11개의 음주 정책에 대한 찬성 수 평균과 총 6개의 영양 관련 정책 찬성 수 평균이 건강행태에 따른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윤리적 고려
이번 연구는 울산대학교병원 임상연구심의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았다(과제번호: 2019-10-048). 연구참여자에게 조사 전 연구의 목적 및 내용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 후 자발적인 동의를 받아 조사를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Table 1>은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Table 1). 연구참여자 중 남성이 627명(51.1%), 여성이 599명(48.9%)이었다. 연령대는 40~50대가 524명(42.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월 평균 가구소득 수준은 3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이 656명(53.5%)으로 가장 많았고, 울산 내 거주구역은 남구가 354명(28.9%)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참여자의 건강행태를 살펴보면, 흡연자가 320명(26.1%)이었고, 음주자는 625명(51.0%)이었다. 저나트륨 식사여부에 있어서 비선호자와 부분선호자는 각각 201명(16.4%), 944명(77.0%)이었다.
음주 관련 정책의 찬성률
이번 연구에서 찬성률이 가장 높은 음주 관련 정책은 중독치료 및 재활(1061명, 86.5%)이었고, 다음으로 금주 캠페인(1039명, 84.7%), 공공장소 음주규제(992명, 80.9%)순으로 찬성률이 높았다. 이에 비하여 주세 인상(467명, 38.1%)은 찬성률이 가장 낮았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음주 정책의 찬성률
성별에 따라 찬성률이 가장 높은 정책은 남성(541명, 86.3%) 여성(52명, 86.8%) 모두 중독치료 및 재활로 나타났다. 음주 정책 중 소매상 판매제한(p=0.004), 운전 시 기준강화(p=0.025), 주세 인상(p=0.002), 주류회사 후원제한(p=0.042), 광고규제(p=0.030)에 대한 찬성률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able 2). 연령대에 따라 찬성률이 가장 높은 정책은 20~30대(367명, 86.4%), 40~50대(458명, 87.4%)는 중독치료 및 재활로 나타났으나 60대 이상(243명, 87.7%)은 금주 캠페인이 가장 높았다. 음주 정책 중 소매상 판매제한(p=0.023), 주세 인상(p=0.009), 주류회사 후원제한(p=0.033), 금주 캠페인(p=0.033)에 대한 찬성률은 연령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득수준이 300만원 미만(244명, 87.1%)인 경우와 500만원 이상(77명, 26.6%)인 경우 찬성률이 가장 높은 정책은 중독치료 및 재활로 나타났다. 소득수준이 3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545명, 83.1%)인 경우에는 금주 캠페인 찬성률이 가장 높았다. 음주 정책 중 소매상 판매제한(p=0.006), 주류구입 연령제한(p=0.002), 운전 시 기준 강화(p=0.038), 주세 인상(p<0.001), 중독치료 및 재활(p<0.001)에 대한 찬성률은 소득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able 2>.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음주 정책의 찬성률
흡연여부에 따라 찬성률이 가장 높은 정책은 흡연자(286명, 89.4%)와 비흡연자(775명, 85.5%) 모두 중독치료 및 재활로 나타났다. 음주 정책 중 소매상 판매제한(p=0.003), 주류구입 연령제한(p=0.021), 주세 인상(p=0.008), 주류 회사 후원제한(p=0.011)에 대한 찬성률은 흡연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음주여부에 따라 찬성률이 가장 높은 정책은 음주자(539명, 86.2%)와 비음주자(522명, 86.9%) 모두 중독치료 및 재활로 나타났다. 음주 정책 중 소매상 판매제한(p<0.001), 주세 인상(p<0.001), 주류회사 후원제한(p<0.001), 광고규제(p=0.001), 경고문구 표기(p=0.002), 공공장소 음주규제(p=0.022)에 대한 찬성률은 음주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저나트륨 식사 선호도에 따른 음주정책 찬성률을 살펴보면, 비선호자는 주세인상(69명, 34.3%)이 가장 높았으며 부분선호자(825명, 78.4%)와 선호자(70명, 86.4%)는 모두 중독치료 및 재활로 나타났다. 음주 정책 중 소매상 판매제한(p=0.036), 주류구입 연령제한(p<0.001), 운전 시 기준강화(p=0.006), 음주측정 빈도강화(p=0.019), 주세인상(p=0.006)에 대한 찬성률은 저나트륨 식사 선호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able 2>.
영양 관련 정책의 찬성률
이번 연구에서 찬성률이 가장 높은 영양관련 정책은 영양표시 의무 확대(1100명, 89.7%)였고, 학교 주변 판매점 제한(968명, 79.0%)이 그 다음으로 찬성률이 높았다. 반면 찬성률이 가장 낮은 정책은 가당식품 세금부과(699명, 57.0%)로 나타났다<Table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영양 관련 정책의 찬성률
성별에 따라 찬성률이 가장 높은 정책은 남성(565명, 90.1%) 여성(535명, 89.3%) 모두 영양표시 의무 확대로 나타났다. 영양 관련 정책 중에 폭식조장 미디어 규제 대한 찬성률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대에 따라 찬성률이 가장 높은 정책은 20~30대(382명, 89.9%), 40~50대(477명, 91.0%), 60대 이상(241명, 87.0%) 모두 영양표시 의무 확대로 나타났다. 영양 관련 정책 중에 학교 주변 판매점 제한(p=0,031), 패스트푸드점 설치 제한(p<0.001)에 대한 찬성률은 연령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득수준에 따라 찬성률이 가장 높은 정책은 300만원 미만(250명, 89.3%), 3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577명, 88.0%), 500만원 이상(273명, 94.1%) 모두 영양표시 의무 확대로 나타났다. 영양 관련 정책 중에 영양표시 의무 확대(p=0.015), 패스트푸드점 설치 제한(p=0.001)에 대한 찬성률은 소득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able 3>.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영양 관련 정책의 찬성률
흡연여부에 따라 찬성률이 가장 높은 정책은 흡연자(282명, 88.1%)와 비흡연자(818명, 90.3%) 모두 영양표시 의무 확대로 나타났다. 흡연여부에 따른 영양 관련 정책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정책은 없었다. 음주여부에 따라 찬성률이 가장 높은 정책은 음주자(565명, 90.4%)와 비음주자(535명, 89.0%) 모두 영양표시 의무 확대로 나타났다. 영양 관련 정책 중 폭식조장 미디어 규제(p=0.001), 패스트푸드점 설치 제한(p<0.001)에 대한 찬성률은 음주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저나트륨 식사 선호도에 따른 영양 관련 정책 찬성률을 살펴보면, 비선호자(164명, 81.6%), 부분선호자(859명, 91.0%), 선호자(77명, 95.1%) 모두 영양표시 의무 확대로 나타났다. 영양 관련 정책 중 영양표시 의무 확대(p<0.001), 학교 주변 판매점 제한(p=0.011), 패스트푸드점 설치 제한(p<0.001), 가당식품 세금 부과(p<0.001), 저나트륨 식당 인증제(p<0.001)에 대한 찬성률은 저나트륨 식사 선호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able 3>.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음주 정책의 평균 찬성 수
<Figure 1>은 연구참여자의 건강행태 특성에 따라 음주 정책의 퍙균 찬성 수를 나타낸 것이다. 비흡연자(7.8개)가 흡연자(7.4개)보다, 비음주자(8.1개)가 음주자(7.4개)보다 찬성하는 음주 정책 수가 더 많았다. 저나트륨 식사의 경우 부분 선호자(7.9개)일 때 그 수가 가장 많았고, 선호자와 비선호자의 찬성하는 음주 정책 수는 각각 7.7개, 7.2개였다.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음주 정책 평균 찬성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흡연: p=0.007, 음주: p<0.001, 저나트륨 식사 선호도: p=0.004).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영양 관련 정책의 평균 찬성 수
<Figure 2>은 연구참여자의 건강행태 특성에 따라 영양 관련 정책의 평균 찬성 수를 나타낸 것이다. 비흡연자(4.4개)가 흡연자(4.3개)보다, 비음주자(4.5개)가 음주자(4.3개)보다 찬성하는 영양 정책 수가 더 많았다. 저나트륨 식사의 경우 선호자(5.1개)일 때 그 수가 가장 많았고, 부분선호자와 비선호자의 찬성하는 영양 정책 수는 각각 4.4개, 4.0개였다. 건강행태 특성 중 음주여부(p=0.002)와 저나트륨 식사 선호도(p<0.001)에 따른 영양 관련 정책 평균 찬성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찰
이번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음주와 영양에 대한 다양한 건강증진 정책의 인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정책별 찬성률 결과를 요약하면, 음주 관련 정책 중에서도 중독치료 및 재활(86.5%), 금주 캠페인(84.7%), 공공장소 음주규제(80.9%)의 찬성률이 높았다. 반면에 주세 인상(38.1%)의 찬성률은 음주 관련 정책 중에서 가장 낮았다. 영양 관련 정책 중에서는 영양표시 의무 확대(89.7%), 학교 주변 판매점 제한(79.0%), 저나트륨 식당 인증제(78.8%)의 찬성률이 높았다. 반면에 가당식품 세금부과의 찬성률(57.0%)은 영양 관련 정책 중에서 가장 낮았다.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음주와 영양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의 인식을 계량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없었기에 이번 연구가 관련 정책을 도입하는 데에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월간음주율, 고위험음주율 추이를 살펴보면, 코로나 19로 인하여 그 수치가 다소 감소하는 것처럼 보이기는 하지만 최근 10년 동안 개선이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12, 20]. 음주가 암, 간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발병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음주율을 낮추기 위한 보다 강력한 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 그 인식을 알아본 음주 관련 정책들은 인구집단 수준에서 작동되어 음주율을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알려진 정책들인데, 대부분의 정책들을 울산시민들이 찬성하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라고 판단된다. 특히, 지자체에서 좀 더 자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정책인 공공장소 음주규제의 찬성률이 꽤 높다는 점은 울산광역시가 공공장소 음주규제 정책을 확대하는 데에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음주 정책의 찬성률을 금연 정책의 찬성률과 비교했을 때 그 수준이 낮아 음주 정책의 확대 동력이 덜 할 것이라는 우려가 존재한다. 울산광역시민 700명을 대상으로 총 9가지 금연 정책의 찬성률을 알아본 선행 연구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정책들에서 시민 4명 중 3명 이상이 찬성하고 있었다[17]. 특히, 사회적 합의가 더욱 필요한 세금 인상의 경우에도 담뱃세 인상의 찬성률(53.4%)은 주세 인상의 찬성률(38.1%)보다 높았다. 음주는 한국에서 사회적 의미, 문화적 교류의 수단으로 활용되며 흡연에 비해 관대한 문화가 형성되어 있어 정책적 개입이 쉽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21, 22]. 과대한 음주 문화를 개선시키고 음주 정책에 대한 인식 개선에 초점을 둔 캠페인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나트륨 섭취량이 여전히 높은 사실[11]뿐만 아니라 최근 비만율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23], 영양과 관련된 정책들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 그 인식을 알아본 영양 관련 정책들은 인구집단 수준에서 작동되어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거나 비만율을 낮추는 데에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알려진 정책들인데, 대부분의 정책들을 울산시민들이 찬성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판단된다. 음주 정책들과 비교했을 때에 그 찬성률이 더 높은 편이었고, 선행 연구의 금연 정책들의 찬성률과 유사한 수준이었다[16]. 울산시민들의 영양 관련 찬성률을 근거로 보다 적극적인 영양 관련 정책 추진이 필요한데, 저나트륨 식당 인증제 활성화 정책과 같이 시도 지자체가 상대적으로 손쉽게 추진할 수 있는 정책부터 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한편, 연구 참여자의 건강행태에 따라 각종 정책의 찬성률에 차이가 있음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비음주자보다 음주자에서 주세 인상, 주류회사 후원제한, 광고규제, 경고문구 표기, 공공장소 음주규제 등 정책의 찬성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았다. 뿐만 아니라 비흡연자보다 흡연자에서 주류구입 연령제한, 주세 인상, 주류회사 후원제한 등 정책의 찬성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았다. 기존에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하여 금연 정책의 찬성률이 낮았다는 연구 결과에 더해[16], 음주자가 비음주자에 비하여 음주 정책의 찬성률이 낮을 뿐만 아니라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하여 음주 정책의 찬성률도 낮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건강행태에서 군집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이는데[24], 건강행태의 종합적인 개선이 동반되어야 건강증진 정책의 수용도도 함께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건강행태 중에서는 저나트륨 식사여부에 따른 정책의 찬성 개수의 차이가 두드러졌는데, 저나트륨 식이를 완전히 실천하지 못한 사람들에 대한 인식 개선이 보다 동반되어야 정책의 찬성률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울산광역시민들을 대상으로만 설문조사가 진행되어 우리나라 전체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주의해야 한다는 점이 있다. 정책의 찬반에는 지역적 맥락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번 연구에서 활용한 설문지를 참고로 하여 타 지역 혹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이번 연구는 단면 연구이기 때문에 정책의 찬반의 추이를 살펴보지 못했다는 제한점도 있다. 정책의 찬반은 사회적 이슈에 따라 크게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한 시점의 결과로 정책의 찬반 여부를 판단하기보다는 정기적으로 정책의 찬반 여부를 추적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이번 연구는 음주와 영양에 대한 다양한 건강증진 정책의 인식을 포괄적으로 살펴보아 관련 정책의 도입에 근거 자료를 생성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건강증진 정책의 성공적인 수립 및 시행을 위해서는 정책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수준부터 알아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금연, 음주, 영양뿐만 아니라 운동, 예방접종, 손위생 등 보다 다양한 건강행태와 관련된 정책의 인식 조사가 수행되기를 바란다
Notes
Funding
이번 연구는 울산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연구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