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Wastesson JW, Morin L, Tan ECK, Johnell K. An update on the clinical consequences of polypharmacy in older adults: a narrative review. Expert Opin Drug Saf. 2018;17(12):1185–1196.
3. Davies LE, Spiers G, Kingston A, et al. Adverse Outcomes of Polypharmacy in Older People: Systematic Review of Review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20;21(2):181–87.
4. 윤종률. 노인의료 관련 정책수립에서 고려해야 할 노인의료의 특성. HIRA 정책동향. 원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6.
5. Park YH, Lee YJ. Qualitative Analysis of Medical Usage Patterns of Medical Aid Pati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Internet]. 2017;Sep 28 17(9):39. –49. Available from: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039.
6. 김의숙, 남정자, 김미영, 고일선, 이덕만, 김광숙. 의료급여 장기이용환자의 의료이용 실태 및 개선 방안, 세종, 한국: 보건복지부, 서울, 한국: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2007.
7. 구 효정, 김 민주, 박 한, 채 지은, 김 정아, 박 기현, et al. 공공병원 노인 외래환자의 다약제 복용률 및 관련 인자.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2020;10(2):136–142.
8. 김동숙, 윤상헌. 조호진. 채정미. 이주연. 전광희. 노인의 다약제 사용 관리방안. 원주, 한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2.
9. 이 미준, 강 희경, 서 범준. 제 2 형 당뇨병의 외래환자 복약순응도와 보험유형과의 관계. 융합정보논문지. 2018;8(4):9–14.
10. 손창우. 김정아. 서울시 의료급여 수급권자 건강관리와 의료이용 실태. 서울, 한국: 서울연구원; 2018.
12. 황도경, 신현웅, 여지영, 김진호, 이승기, 성민현. 의료급여 과다이용자의 의료이용 실태에 대한 연구, 세종, 한국: 보건복지부, 원주, 한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원주, 한국: 의료급여사례관리사업지원단, 세종, 한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13. 김 진현, 임 은실, 배 현지, 고 영. 성향점수대응법에 의한 의료급여와 건강보험의 의료이용량 차이 분석. 사회보장연구. 2018;34(1):55–77.
14. 이진용, 김연용, 신지연, 김현주, 김자연. 의료급여 수급자 의료이용 실태 분석 및 자기 건강관리 지원 방안 연구. 세종, 한국: 보건복지부, 서울, 한국: 보라매병원; 2018.
17. Kim A, Kim HA, Rhie SJ. Risk Factors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and Cost by Polypharmacy among Elderly Patients of a Community Pharmacy near a Top Tier General Hospital. Korean J Clin Pharm. 2015;25(3):159–165.
18. Cho HJ, Chae J, Yoon SH, Kim DS. Aging and the Prevalence of Polypharmacy and Hyper-Polypharmacy Among Older Adults in South Korea: A National Retrospective Study During 2010–2019. Front. Pharmacol. 2022;13:866318. doi: 10.3389/fphar.2022.866318.
19. 박 혜영, 손 현순, 권 진원. 우리나라의 다제약제 현황과 적정관리 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임상약학회지. 2018;28(1):1–9.
20. 황도경. 취약계층 의료보장 확대를 위한 정책 과제. 보건복지 ISSUE & FOCUS. 세종, 한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21. 강현진. 다약제사용과 간질환 신기능저하의 관련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20.
25. 김 성옥, 이 주향. 의료급여 노인 대상 의약품 중복투약 관리프로그램이 약국약제비와 원외처방조제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014;20(1):1–19.
26. Haider SI, Johnell K, Weitoft GR, Thorslund M, Fastbom J.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Level on Polypharmacy and Inappropriate Drug Use: A Register-Based Study of More Than 600,000 Older People [Internet].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9;57:62–69.
27. 정영희, 오영희, 이윤경, 손창균, 박보미, 이수연 등.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세종, 한국: 보건복지부,보건사회연구원; 2012.
28. 홍 주연, 김 가중.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이용한 의료급여수급권자와 건강보험가입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6;16(5):477–487.
29. 박 영희, 이 용재. 의료급여환자의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7;17(9):39–49.
30. Elixhauser A, Steiner C, Harris DR, Coffey RM. Comorbidity measures for use with administrative data. Medical care. 1998;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