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서 경화. 한국적 상황에서 공공의료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 대안. 의료정책포럼. 2019;16(4):60–66.
3. 국립중앙의료원. 2020년 공공보건의료 통계집. 서울, 한국:국립중앙의료원, 2021.
4. 보건복지부. 2020 보건복지 통계연보. 세종, 한국:보건복지부, 2020.
5. 윤 강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을 통해 살펴본 감염병과 공공보건의료. 보건·복지 Issue & Focus. 2020;377:1–11.
6. 신 정우, 천 미경.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보건의료 자원의 확충: 세 개의 축. 보건·복지 Issue & Focus. 2021;408:1–11.
7. Tilson H, Gebbie KM. The public health workforce. Annu Rev Pub Health. 2004;25:341–356.
8. 신 영석, 윤 강재, 김 소운, 이 나경, 임 재우, 이 진형, et al.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세종, 한국: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9. 김 영순, 어 용숙. 간호사의 핵심역량과 상사의 직무역량 인식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20;19(4):617–626.
10. Van Loo J, Semeijn J. Defining and measuring competencies: an application to graduate surveys. Quality Quantity. 2004;38(3):331–49.
11. Advisory Committee on Population Health. Survey of Public Health Capacity in Canada. Highlights Report to the Federal, Provincial, Territorial Deputy Ministers of Health. Ottawa:Health Canada, 2001.
12.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2020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교육안내. 한국: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2020.
13.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 2021년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 교육훈련과정 및 일정안내. 한국:국립중앙의료원, 2021.
14. 신 영삼, 김 상봉. 공공조직 역량기반 교육훈련제도와 직무성과 영향관계 분석 연구. 한국행정논집. 2012;24(3):591–614.
15. 이 지연, 이 재경. 이러닝의 개념화를 위한 일 고찰. 한국성인교육학회. 2005;8(3):1–31.
16. 이 용상, 신 동광.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020;23(4):39–57.
17. 신 희선. 비대면 환경에서의 비판적 사고와 토론교육 - 공대 신입생 대상 온라인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021;24(1):34–45.
18. 박 정모, 김 정숙, 김 재희, 안 지연, 표 은영.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선 전략.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5;21(3):426–439.
19. 문 정주, 이 승은, 황 은정, 김 성규, 서 지우, 이 흥훈. 공공병원의 공공보건의료사업 교육 계획 및 프로그램 개발. 청주, 한국:한국보건산업진흥원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7.
20. 권 다혜, 우 다래, 고 광필. 인천광역시 공공보건의료인력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기획. 인천, 한국:인천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 2020.
21. 정 백근, 이 승근, 진 보영, 이 정례, 박 해미. 경상남도 지역보건기관 신규종사자 대상 수요자 요구도 기반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창원, 한국:경상남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 2020.
22. 김 현경, 표 은영, 전 경자, 소 애영, 김 희걸, 엄 미란, et al. 신규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이 인식한 직무역량과 교육요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4;25(2):85–96.
27. 오 영아. 지역사회 건강증진인력 직급별 핵심역량에 관한 질적연구. 대한보건연구. 2015;41(1):95–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