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을 회고하며…
이홍재 경기도 하남시보건소 의사경기도에서 보건소장으로 29년을 근무하다 퇴직한 지 3년이 지났고 지금도 보건소에서 파트타임 의사로 근무하면서 대한공공의학회의 성년을 맞이하여 지난 시간을 회고해 본다.
지방자치제의 실시 이후 의사 보건소장의 자리가 줄어들면서 모임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지역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모임’이 생겨났고 활발하게 활동을 해왔으나, 공식적인 단체의 성격이 결여되어 한계가 있었다. 공무원의 단체행동 금지에 저촉되지 않으면서 공공의료 분야에 근무하는 의사들의 목소리가 정부의 보건정책이나 공직 의사의 처우에 반영되길 바라면서 대한공공의학회가 출범하게 되었다. 그동안 회원들의 노력으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지만, 아쉬운 점들도 많은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 아직도 ‘공공의료’에 대한 정의가 확립되지 않고 사람에 따라 의미가 달리 사용되고 있는 점은 빨리 바로잡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공공의학회에서 전문가들을 불러모아 토론하고 합의된 정의가 나와야 공공의료를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사용하지 않게 될 것이다.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공공의학회의 역할이 매우 부족하다. 정부에서 보건의료 정책을 수립할 때 일부 학자나 보건소장 대표들에게 의견수렴을 하기도 하지만, 복지부 담당부서의 의사에 의해 임의적으로 결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예방의학회 등 관련된 학회들도 큰 차이는 없으나, 적어도 지역보건과 관련된 정책은 공공의학회의 의견이 반영되는 시스템이 만들어지길 기대한다.
공공의학회가 출범한 이후 지역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모임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지역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모임의 주축 멤버들이 공공의학회에 참여하면서 인적 네트워크 중심의 지역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모임이 약해지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따라서 두 단체에 모두 참여하는 분들이 모여서 단체의 성격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중앙정부의 공직 의사나 보건소의 관리 의사 등 참여가 미흡한 대상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나와야 하며, 한 예로, 지역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모임은 이익단체의 성격으로 운영하고, 이 모임의 의견이 공공의학회를 통하여 정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등의 역할분담이 필요하다.
올해 전 세계에 코로나19가 대유행하면서 공공병원과 보건소들이 험난한 시기를 보내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이러한 위기가 보건소와 공공의료의 역할이 각인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시간이 없고 힘들겠지만 이러한 국가 보건위기에 공공의학회가 다소라도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7월 말경 하남시에서 ‘코로나19 장기화 시기의 보건소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었으며 학회는 대한예방의학회와 한국역학회가 참여하는 형식이었다. 대한공공의학회가 미리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2020년은, 대한공공의학회가 성년이 되는 해이니 만큼 공직 의사를 대표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보건의료정책을 선도하는 학회로 발전하는 전환점이 되기를 기원하며 그동안 학회 발전을 위해 힘써오신 모든 회장단 및 임원님들과 회원님들께 감사를 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