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를 떠나며
송은철 서울시 시민건강국 감염병관리과 과장 대한공공의학회 법제이사수련과정을 마치고 첫 직장으로 자리를 잡은 곳이 서울시 구로구보건소였다. 예방의학을 공부하면서, 또 그 전에 공중보건의로 근무하면서 지역보건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마침 의사를 구하고 있던 구로구보건소에 지원했다. 몇 년 머물다 다른 곳으로 가게 되지 않을까 하는 처음 생각과 달리 관리 의사로, 의약과장으로 한 보건소에서 10년에 가까운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좋은 선배, 동료들과 의사로서, 사회인으로서, 공무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고, 지금 있는 서울특별시 시민건강국 감염병관리과장 자리로 옮길 때까지 다른 곳으로 떠나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는 좋은 직장이었다.
나름 긴 시간을 보건소에 근무하면서, 지역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의사의 모습이 점차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주요 사인과 질병 구조의 변화에 따라 보건소에서 진료의 비중은 점차 줄어들고, 커뮤니티 케어, 건강증진사업, 감염병의 역학조사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의사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요구되는 역할에 대한 교육은 보건소에 근무하고 있는 의사를 대상으로만 진행되고 있을 뿐, 대학에서조차 이러한 영역에 대한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공공의료의 영역에 대한 고민의 기회조차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우가 다른 영역에 비해 좋지 않아 의사를 구하기도 힘들고, 어렵게 모신 의사의 경우에도 수년, 수십 년간 익숙하게 하였던 진료의 영역을 넘는 용기를 내기가 쉽지 않아, 의사와 보건소 직원들의 적극적 협업은 몇몇 보건소의 미담처럼 우수사례라는 내용으로 전달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모교에서 학생들에게 지역사회보건 과목을 가르칠 때, 교과서의 마지막에 기술되어 있는 전문가로서의, 팀 리더로서의 의사의 역할을 꼭 언급하고 있다. 사회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의사의 모습을 의사가 선도하여 만들지 못하고 있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요구하는 모습에도 맞추어 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 너무 길어지지는 않았으면 하는 생각이다.
지역사회보건 영역에서 일하기로 생각했을 때 보건소를 먼저 떠올렸던 것은 어느 곳에서 일하게 되더라도 보건소에의 경험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었다. 정작 가장 꼭 해보았으면 했던 역할인 보건소장을 하지 못하고 일단 보건소를 떠나게 되었지만, 언젠가는 지역보건의료체계의 핵심인 보건소로 돌아가 보건소장으로서 그 역할을 할 기회가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